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요즘 암호화폐 이야기 1] 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 그리고 토근화한 자산 RWA (Real World Assets)

by haiben 2025. 5. 26.

 

1. 스테이블코인 정의 (Stablecoin Definition)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주로 USD)*나 *자산(금, 채권 등)*의 가치를 1:1로 연동하여 가격 변동성을 줄인 암호화폐입니다.

변동성 회피, 거래 안정성 확보, 디지털 화폐의 실용성 강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2. 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 종류와 사례

구분 명칭 특징 발행
중앙형 USDT (Tether) 담보형, 가장 오래됨. 규제 불투명 논란 있음 Tether Limited
중앙형 USDC 투명성 강조, 미국 규제 준수, 주요 디파이 플랫폼 채택 Circle + Coinbase
탈중앙형 DAI ETH 등 암호자산 담보,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MakerDAO
국가 주도형 sUSD 등 각국 스테이블 화폐로 파생 국가 및 프로토콜 기반
 

시사점:
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금융 거래에서 '디지털 달러의 프록시(proxy)' 역할을 하며 기축통화 디지털 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음.

 


3. RWA (Real World Assets)의 정의와 전망

● 정의:

RWA란 현실 자산(부동산, 채권, 금, 미술품 등)을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tokenization)한 자산.

  • 실물 자산을 스마트 계약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으로 전환 → 거래·유통·파생이 가능해짐.
  • 대표 예: 부동산 지분 NFT, 국채 토큰, 금 연동 토큰.

4. RWA 시장의 전망 

가. 핵심 전제: “모든 자산은 디지털화된다. 그리고 연결된다.”

  • RWA는 금융자산의 '인터넷화'다.
  • 실물 자산이 블록체인 위에서 글로벌하게 유통될 수 있는 '인터넷 계좌권'으로 전환된다.

나. 미국의 전략적 의도:

  •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디지털 달러화(dollarization)'를 글로벌 자산 시장까지 확장하려는 시도.
  • 즉, “RWA가 토큰화되더라도, 그것이 연동될 기축 스테이블코인은 USD 기반이어야 한다.”

다. 중국·EU와의 경쟁 지점:

  • 중국: CBDC(디지털 위안화)로 '중앙 통제 + 블록체인' 시도 중. 해외 수출은 한계.
  • EU: MiCA 도입했지만 달러 기반 디지털 자산 시장 장악력은 부족.

라. 투자자 입장에서의 인사이트:

RWA가 누구의 체인에서 누구의 스테이블코인으로 토큰화되느냐가 미래 자산 시장 패권의 핵심이다.

  • RWA의 코인화는 인터넷 자산 거래소(INEX: Internet Exchange for Everything)의 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
  • 그 안에서 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SWIFT' 역할을 하게 된다면, 이는 미국 금융패권의 재연장선.

5. 결론 및 전략적 인사이트

  • 스테이블코인은 화폐의 디지털 버전이 아니라, 금융 질서의 경로를 리디자인하는 도구다.
  • RWA는 이 도구의 표적이고, '어느 체인', '어느 코인'에서 작동할지가 디지털 패권의 전장이다.
  • 향후 10년 내에는 모든 실물 자산의 일부가 암호화폐로 연결될 것이며,
  • 투자자는 RWA 인프라(예: Chainlink, Centrifuge, Ondo, BlackRock의 BUIDL)를 중심으로
“달러기반인가, 유로기반인가, 위안기반인가?”
“중앙형인가, 탈중앙형인가?”
  • 를 구분하며 투자 기회를 선별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