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2

[요즘 암호화폐 이야기 5] 비트코인은 ‘디지털 황금’이고, 달러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달러’ 몇 가지 질문으로 글을 시작해볼까한다.첫번째 통화 달러와 달러 스테이블코인은 왠지 별 차이가 없어보인다. 디지털인지, 아닌지의 차이뿐 아닐까?두번째 무한히 발행되고 미국정부의 관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달러 스테이블코인은 그저 달러를 담보로한 파생상품 같은 것은 아닐까?세번째 그럼 비트코인과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차이는 무엇일까?1️⃣ 달러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달러화’에 불과하다기본 구조:1 USDC = 1 달러실제로는 달러가 은행 계좌에 묶여 있거나 채권·현금성 자산으로 보관스테이블코인은 이 달러를 ‘디지털로 인증하는 증표’일 뿐한계:결국 스테이블코인 발행량도 달러 총량에 달려 있음달러가 무한대로 발행된다면 스테이블코인도 무한 발행 가능즉, 본질적으로 "디지털 달러 IOU (부채 증서)" 에 불과2️.. 2025. 6. 3.
[심심풀이 차트 분석] 최소 10년 장기적 안목으로, 계획과 인내의 미학 투자를 처음 시작할 때 코스피 시총상위 10종목과 코스닥 시총상위 10종목을 차트를 보고 생각을 정리한 후 했더라면 어땠을까하는 마음으로 ...계획대로 그리고 길고 긴 호흡으로 바라보고 투자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몇 마디 멘트를 남길까했으나 그냥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매일 경제뉴스에, 전문가 분석에, 차트 분석에 마음을 뺏기지 마시고 본업에 충실하시면서 때를 기다리는 투자아래는 2025년 5월 30일 시가총액순주관적인 업종별 선택차트 구성[[ 월봉, 일목균형표, 블린저벤드, RSI, 거래량, 이평선, 재무차트 ]]1. 코스닥 차트 (시가총액순의 매우 주관적인 업종별 선택과 투자 회수 시기)1) 삼성전자 2) 삼성바이오 3) LG에너지솔루션 4) KB금융 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6) 현대차 7) 네이버(.. 2025. 5. 31.
[요즘 암호화폐 이야기 4] 몇 가지 상상해 본 시나리오와 궁금증 1. 개인 신뢰 기반 코인 생태계: 가능할까?● 기술적으로? → 이미 가능함NFT = 유일한 디지털 소유권ERC-1155 등 다양한 자산 형태를 하나의 지갑에 보관 가능탈중앙 거래소(DEX), 다중 체인 지갑, P2P 결제 등 이미 구현● 사회적으로? → 가능성 있음, 전제 조건은 “신뢰의 네트워크화”“버핏 햄버거” = ‘버핏의 가치 철학’을 신뢰하는 사람들이 만든 디지털 자산“노무현 자전거” = ‘공정과 양심’이라는 상징의 토큰“트럼프 모자” = 정치적 정체성 혹은 밈 기반 소비 토큰“이재용 메모리 반도체” = 실제 반도체 유통망과 연결된 실물 기반 토큰(RWA)즉, 이 모든 코인은 그 인물 또는 상징에 기반한 '사회적 자산'이자 '기호 가치 화폐'가 될 수 있음. 2. 그럼 이런 세상에서 '환율'은 .. 2025. 5. 26.
[요즘 암호화폐 이야기 3] 누구나 만들수 있지만 신뢰받는 블록체인으로 운영할 수 있는가는 전혀 다른 문제: 만약 워렌 버핏이 만든 플록체인이라면? 1. 누구나 블록체인을 만들 수 있다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을 기반으로 하며,다음과 같은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든지 새 블록체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오픈소스 코드 사용 (ex: Ethereum, Bitcoin, Cosmos SDK, Substrate 등)자체 코딩 혹은 기존 프로토콜 포크(Fork)테스트넷 / 메인넷 구성노드(참여자 컴퓨터) 구축블록 생성 알고리즘(PoW, PoS 등) 설정실제로도 1,000개가 넘는 블록체인이 생성되었습니다.예: Litecoin, Solana, Avalanche, Aptos 등 2. 문제는 ‘신뢰’와 ‘생태계’다● 블록체인을 만든다고 끝나는 게 아니다진짜 중요한 질문:"그 블록체인을 누가 써줄까?""그 위에 어떤 자산.. 2025. 5. 26.
[요즘 암호화폐 이야기 2] 소유권의 질서를 흔드는 국가를 벗어난 자산 통제권 바로 그 "국가를 벗어난 자산 통제권"—이것이 암호화폐의 진짜 무서움이며, 국가 간 통화 패권을 넘어서 '소유권 질서' 자체를 뒤흔드는 구조적 변화의 핵심1. 꼭 달러/위안/유로 기반일 필요는 없다자산의 토큰화는 통화 단위(currency) 기반이 아닌 소유권 기반(ownership-based) 거래 구조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예:전통 구조토근화 구조달러로 표시된 미국 부동산"NFT 형태의 부동산 소유권 토큰"유로 표시된 유럽 채권"DAO에 의해 관리되는 디지털 채권 지분" 즉, '화폐를 거치지 않고 자산이 직접 디지털화될 수 있는 시대'가 도래 중2. 누구의 '체인'이냐가 더 중요한 전쟁터가 된다● 예시: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화폐 단위"의 패권을 강화.이더리움, 솔라나, 앱토스 등 Layer 1.. 2025. 5. 26.
[요즘 암호화폐 이야기 1] 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 그리고 토근화한 자산 RWA (Real World Assets) 1. 스테이블코인 정의 (Stablecoin Definition)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주로 USD)*나 *자산(금, 채권 등)*의 가치를 1:1로 연동하여 가격 변동성을 줄인 암호화폐입니다.변동성 회피, 거래 안정성 확보, 디지털 화폐의 실용성 강화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2. 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 종류와 사례구분명칭특징발행 주체중앙형USDT (Tether)담보형, 가장 오래됨. 규제 불투명 논란 있음Tether Limited중앙형USDC투명성 강조, 미국 규제 준수, 주요 디파이 플랫폼 채택Circle + Coinbase탈중앙형DAIETH 등 암호자산 담보, 스마트컨트랙트 기반MakerDAO국가 주도형sUSD 등각국 스테이블 화폐로 파생국가 및 프로토콜 기반 시사점:달러기반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금.. 2025.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