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2 반복된 위기와 저주의 짝수해 VS 회복과 기회의 홀수해 뭐가 맞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짝수해와 홀수해 사이에 투자, 경제적 사건, 사회적 이슈가 체계적으로 다르게 발생한다는 명확한 인과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가 저의 결론입니다.일반적으로 이것을 '평균 회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예를 들면 바닥에 원을 그린 후에 뒤돌아서 동전을 세번 던지는 실험을 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첫 시도에서 잘했던 참가자가 두번째 시도에서는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혹은 또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 차례 시도를 할 경우 어느 정도의 패턴과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명확한 인과관계는 없을 수 있지만 패턴과 결과를 보고 예측은 가능합니다.그러니 몇 가지 관찰 가능한 경향과 분석적 프레임을 살펴보겠습니다.실제 사례를 통한 연도별 차이: 홀수해 vs .. 2025. 5. 23. 금융은 주기성(Cycle)이 있는 드라마다 시장 흐름 자체가 하나의 서사위기 → 침체 → 회복 → 확장 → 과열 → 붕괴 → 교훈 → 재도전이 흐름은 영웅서사(Hero's Journey) 또는 비극적 서사처럼 해석됩니다.예시:닷컴버블 → 붕괴 → 구글/아마존 등장2008 금융위기 → 교훈 → 핀테크 혁신FTX/루나 사태 → 불신 → 규제/디파이의 재해석 → ??? 우리는 어쩌면 파사드(Façade)를 보았을지 모른다. * 파사드(프랑스어: Façade)는 건물의 출입구로 이용되는 정면 외벽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1. 맹신과 탐욕의 대가 FTX / 루나 사태: 신뢰 붕괴의 시작 → 루나(LUNA)-테라(UST) 사태 (2022.05)배경: 테라(UST)는 루나(LUNA)와 알고리즘적으로 연동된 스테이블코인.문제: 디페깅(UST가 1달러 .. 2025. 5. 22. 마케팅 메세지 그리고 브랜드 이야기의 주인공 『무기가 되는 스토리(도널드 밀러)』에서 소개하는 스토리브랜드 프레임워크(StoryBrand Framework)의 7단계는 마케팅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구조로, 고객을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브랜드는 그 주인공을 돕는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아래는 그 7단계의 요약입니다:1. 주인공 (The Character)고객(소비자)이 주인공이다.그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욕구가 있어야 함. (예: 시간 절약, 돈 절약, 인정받기 등)포인트: 마케팅 메시지는 브랜드가 아닌 고객의 욕망을 중심에 둬야 한다.2. 문제를 가진다 (Has a Problem)주인공은 문제를 겪고 있다. 이 문제는외적 문제 (예: 제품 부족, 서비스 문제),내적 문제 (불안, 두려움 등 감정적 문제),철학적.. 2025. 5. 15. [심심풀이 차트 분석] 상승 전야의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서사를 읽다 코스닥 월봉 차트 1997년 ~ 2025년 현재까지(파란선은 이동평균 60선, 녹색선은 이동평균 120선)1997년 위환위기(역플라자합의 엔저와 신흥국 외환보유고)2000년 닷컴버블(인터넷)2008년 금융위기(금융시스템 붕괴)2020년 코로나19(감염공포)코스닥 월봉 차트 2016년~2025년 현재까지(코로나19 포함) 오랜만에 차트에 선도 긋고, 원도 그리고, 박스도 만들고 해봤습니다.언뜻 들었던 생각이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할 스토리가 있어야겠구나!!" 였습니다. 우리가 생각해 볼 수 있는 주제1.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타결2. 한국 대선(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해소와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글로벌 투자금액 유입)3. AI4. 기후 위기와 우주 이민5. 첨단 바이오 최근에 관심이 가는 기후 위기와 우주 .. 2025. 5. 15. 🌐 트럼프 관세 정책 이후 글로벌 질서 변화의 주요 변수 (AI 예상 영향 비율) 1글로벌 공급망 붕괴35%트럼프의 전면적 관세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을 심각하게 교란시켰습니다. 중국과의 무역 갈등으로 인해 희토류 수출 통제 등 보복 조치가 이어졌고, 이는 전 세계 제조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2미국 경제의 침체30%관세로 인한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 비용 증가로 미국 내수 경제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정책이 미국의 글로벌 금융 신뢰도를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3기후 위기와 에너지 전환15%기후 변화로 인한 에너지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존 산업 구조에 대한 재편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4AI와 자동화 기술의 발전10%AI와 자동화 기술의 발전은 노동 시장과 산업 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 2025. 5. 12. 미국의 관세 정책 , ‘정치적 심리전’과 ‘프레임 설정’의 대가적 수단 1. 미국 내 홍보 효과 – “강한 미국”이라는 프레임 재설정정서적 프레이밍: “미국이 속았고, 이제는 되갚을 차례다”라는 감정적 메시지는 시스템 1의 회상 용이성과 인지적 편안함을 자극합니다.√ 국민은 정확한 데이터보다 "느낌"이 강한 메시지를 더 쉽게 받아들인다.단순한 적 설정: ‘중국 = 일자리 약탈자’라는 구도는 대표성 휴리스틱을 극대화하는 방식입니다. 복잡한 경제 구조보다 단순한 대립구도에 감정이 반응하죠.2. 상대국에 대한 협상 프레임 효과 – 기준점 효과의 극대화기준점 효과(Anchoring Effect): 미국이 ‘25% 관세’라는 극단적 제안을 던짐으로써, 상대국은 협상의 시작점부터 불리한 기준점에 갇힙니다.√ 자동차 관세를 높이겠다는 선언은 실제로 부과하지 않더라도 상대국에게는 커다란 .. 2025. 5. 12. 이전 1 2 3 4 5 6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