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2

전망이론으로 본 개미투자자의 심리-수익은 짧고 손실은 길다 1. 도입: 수익은 빨리 팔고 손실은 버티는 우리… 왜 그럴까?투자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했을 것이다.“이 종목 10% 수익 났다, 팔자!” → “근데 이건 -30%, 아직 회복하겠지…”합리적인 판단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건 심리적 오류에서 비롯된 행동이다.이 심리를 설명하는 대표 이론이 바로 **전망이론(Prospect Theory)**이다.2. 전망이론이란? (Prospect Theory)심리학자 카너먼과 트버스키가 만든 이론.사람들은 이익과 손실을 객관적인 숫자가 아닌 ‘심리적 가치’로 평가한다.핵심은 딱 두 가지!구분내용결과 손실 회피 성향손실은 이익보다 2배 이상 강하게 느낀다손실을 회피하려는 선택을 과도하게 함기준점 의존손익 판단은 ‘절대 값’이 아니라 **기준점(예: 매수가)**에 따라 .. 2025. 3. 24.
트럼프가 직면한 '부채 폭탄'과 경기 침체 유도 가설에 대해 아래 글은 미국 정부의 부채 부담, 금리·경기침체 유도 가설, 그리고 해당 시나리오가 금융시장·투자자에게 미칠 영향 등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여기에 엔 캐리 트레이드(엔화로 자금조달 → 해외 자산 투자)의 영향까지 감안했습니다.   1. 미국 정부의 ‘부채 폭탄’과 금리 인하 유도 가설   가. 부채 문제의 배경7조 달러(약 1경 원)에 달하는 만기 부채: 2025년 6월에 미국이 상환해야 할 국채 규모가 무려 7조 달러로 추산됩니다. 이는 우리나라 예산에 10배를 훌쩍 뛰어넘는 엄청난 금액입니다.금리 부담 급증: 기준금리가 과거 1~2%에서 현재 4% 내외로 높아진 상태에서 재발행(롤오버)하면, 연간 이자 부담이 수천억 달러 이상 늘어날 수 있습니다.높은 국가부채 비율: 이미 미국의 국가 부채는 GDP.. 2025. 3. 23.
반복되는 경제 위기와 그 이면의 통찰: 평균회귀와 비합리적 인간의 관점에서 전통 경제학에서 말하는 두 가지 핵심 가정(‘행위자는 언제나 최적화를 추구한다’, ‘시장은 안정된 균형에 도달한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인간의 비합리성 및 ‘평균회귀(regression to the mean)’ 개념을 결합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제 위기와 그 대응에 관한 통찰을 담은 글입니다.―――――――――――――――――――――――――1장. 전통 경제학과 그 두 가지 핵심 가정에 대한 반론―――――――――――――――――――――――――전통적인 경제학은 크게 두 가지 중요한 전제를 토대로 구축되었습니다.모든 행위자는 언제나 이익(효용)을 최대화하려고 한다.시장은 결국 안정된 균형점에 도달한다.이 이론적 골격은 ‘기업 이론’, ‘한계 분석’ 등의 개념에서 대표적으로 드러납니다. 예컨대 경제학 교과.. 2025. 3. 17.
투자자의 착각과 함정 - 비합리적 선택에서 벗어나기 오늘은 기존의 주제하고 다른 색다른 주제일 수 있다.우리는 저를 포함해서 자신이 내리는 어떤 선택과 결정이 항상 합리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소한 비합리적 선택을 하는 경우는 아주 극히 드물다고 믿는다. 심지어 "국부론"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 "경제학 원리"에서  현대 미시경제학의 기초를 다진 알프레드 마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자유방임적 시장 이론에 도전한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 수많은 경제학자와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도 합리적인 인간을 모델로 한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와서 베르누이의 이론처럼 전통적인 경제학이 가정했던 합리적 인간 모델을 보완하는 개념들이 등장한다. 그런 개념들 중에서 행동경제학의 시초가 되는 몇 가지 얘기를 해볼까 한다.이것들이 어쩌면 우리를 착각과 함정.. 2025. 3. 14.
한국으로 유동성이 회귀 시점 전망 1. 유동성 회귀를 좌우하는 주요 요인a. 미국 금리현재 추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글로벌 유동성이 미국으로 몰리고 있음.전환 예상 시점: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미국 성장세가 둔화될 경우, 2024년 말 또는 2025년 초에 금리 인하 가능성 있음.영향: 금리 인하는 미국 자산의 매력을 감소시키며 한국 및 기타 신흥 시장의 경쟁력을 높임.  연방기금금리(Fed Funds Rate) 예측:2024년 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정책금리를 4.25%~4.50% 범위로 인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로이터스)2025년 말: 추가적인 금리 인하를 통해 정책금리가 3.4%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2026년 말: 정책금리는 **2.9%**로 하락하여 .. 2024. 12. 30.
[경제 역사 4]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기간 동안 미국과 한국 주식시장의 흐름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기간 동안 한국 주식시장은 초기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으나, 탄핵이 가결되고 이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 정책 및 개혁 기대감으로 인해 큰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기업 실적 개선과 글로벌 경제 회복도 이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래 그림은 [경제 역사 3] 2020년 코로나 19 ~라는 블로그 글 에서 보여 드렸던 그림입니다. 이번에 말씀드릴 부분은 파란색 박스 부분입니다.     왼쪽은 위의 그림과 같은 기간의 한국의 코스피 주가 흐름입니다. 한국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은 한국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정치적 사건이었다. • 스캔들이 확대 : 2016년 10월 ~ 11월• 국회 탄핵안 통과 후 안정화 : 2016년 12월 ~ 2017.. 2024. 12. 5.